2024 트렌드 정리
브랜드를 위한 트렌드 가이드
- 트렌드가 있을 때는 역트렌드도 존재함 ( ex) 명품 트렌드 (욜로) vs 무지출 트렌드)
- 데이터 기반 트렌드 파악 : 3년 기준점 (최소 3년 이상의 유의미한 움직임)
- 트렌드를 읽는 방법 및 습관 : 사람과 매장, 거리의 모습에 관심을 가지는 것 (관찰)
- 2024 트렌드
<습관의 일상화> : 브랜드에 대한 '정상덩' '선택해야하는 사유' 제공
<경험의 확장> : 플래그십 스토어 (경험 확장)
<습관의 일상화> 예시 "올리브영"
2023 다보스포럼, 에너지 반도체 보조금 경쟁 등
러시아 원유 공급 중단 - 인플레이션 급등
(러시아산 디젤 (경유) 에 대한 규제 검토 - 디젤 대란 우려)
반도체
: 중국의 최첨단 반도체 구매와 제조 막는 수출 통제 포함 강력한 정책
달러패권 상실
비서구 경제 간 무역거래가 활성화 되면서 주요 원자재가 국제시장에서 제외되면, 다른 구매자들에게는
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음
KDI 경제정보센터
장래 인구 추계 :2020~ 2072년 (통계청 2023.12.14)
- 총인구 : 2022년 현재 5,167만명 -> 2023년 5,175만명 (증가 후 감소)
2030년 5,131만명 2072년 3,622만명 (1997년 수준) 전망
- 인구성장률 : 202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-0.16% 수준, 이후 감소 속도 빨라져 2072년에는 -0.31% 수준 전망
- 자연증가 (출생아수-사망자수) : 222년 -11만명, 2040년 -27만명
- 생산연령인구 : 2022년 3,674만명
- 총부양비 (생산연령인구 1백명당 부양할 인구) : 2022년 40명
한국으 사회동향 2023
- 20~30 년대 청년들의 결혼헤 대한 태도
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(08년부터)
08~ 22년 사이 20대 남성은 30%, 여성은 25% 감소
- 수도권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의 반지하/지하/옥상 거주 비율이 가장 높음
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
- 모니터링으로 본 서울
2020년 대비 2022년 인구 7.1% 감소 ( 노년인구비율 6.9% 증가)
가구수 2010년 대비 17% 증가 (1인 가구 배율 12% 증가)
간단히 보는 도시변화 진단 결과(2022년) |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(si.re.kr)
구글 선정 2023 베스트 multi-creative 및 vest shorts 수상작
2023 YouTube Works Awards Korea: Best Multi-Creative 및 Best Shorts 부문 수상작 (thinkwithgoogle.com)
2023 YouTube Works Awards Korea: Best Multi-Creative 및 Best Shorts 부문 수상작
YouTube의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포맷을 창의적으로 활용해 타겟 소비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한 캠페인을 확인해 보세요.
www.thinkwithgoogle.com
자료 출처
#179 브랜드를 위한 트렌드 가이드 : 비마이비(Be my B) ; 브랜드 경험 플랫폼
2023 다보스포럼, 에너지·반도체·보조금 경쟁 등 5가지 의제 주목 | 아주경제 (ajunews.com)
장래인구추계: 2022~2072년 | 경제정책자료 |KDI 경제정보센터